본문 바로가기
자본주의 생존법

소비기한 유통기한 제도 변경 차이 제대로 알기

by 하하호호 2023. 5. 26.
반응형

 

소비기한 유통기한 차이점?

마트에서 장을 볼 때 자주 체크하는 부분이 유통기한인데요, 최근 식품을 먹을 수 있는 기한에 대해 유통기한에서 소비기한 표시로 점점 제도가 변경되고 있는 시점입니다. 어떤 상품에는 유통기한으로 적혀 있고, 어떤 상품에는 소비기한으로 적혀있기도 한데요 둘의 차이점은 과연 무엇일까요?

 

소비기한 표시제는 2023년 1월 1일 부터 도입되었습니다. 기존의 사용하던 유통기한은 제품을 납품하고 유통하는 판매자 중심의 기한을 표시했다면 소비기한을 도입하면서 실제 물건을 구입하는 소비자 중심의 기한을 표시하기 시작하면서 소비자들은 더 직관적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건을 구매하는 우리는 식품을 안전하게 구매하기 위해서 소비기한과 유통기한 차이점을 이해하고 보관 방법등을 꼼꼼히 체크해서 섭취할 때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냉장고에 썩은 우유 먹고 배탈나면 안되니까요.

 

소비기한 유통기한 차이점 썸네일

 

✅ 유통기한 소비기한 차이점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데요, 쉽게 생각하면 제품의 제조나 가공이 끝난 시점으로 부터 유통할 수 있는 기한을 유통기한이라고 합니다. 반면 소비기한은 특정 보관 조건을 만족할 경우 소비해도 문제가 없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 유통기한 :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판매가 허용되는 기간. 

- 소비기한 : 표시된 조건에서 보관했을 경우 소비할 때 문제가 없는 기간.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뿐만 아니라 제조기한, 품질유지기한 이란 단어가 적힌 상품도 있는데요, 제조일자는 소비기한이 오래 유지되는 상품에 표시됩니다. 제조, 가공이 마무리된 시점을 표기합니다. 반면 품질유지기한은 제품 고유의 품질이 유지되는 기간을 의미하는데요, 장기간 보유하는 상품인 당류, 장류, 절임류에 표기됩니다.

 

- 제조기한 : 상품의 제조, 가공이 끝난 시점 ➡️ 설탕, 소금, 소주 등에 표시

- 품질유지기한 : 제품 고유 품질이 유지되는 기간 ➡️ 당류 장류 절임류에 표시

 

 

소비기한 유통기한 계산 방법

그럼 유통기한이나 소비기한은 어떻게 계산되는 걸까요? 제조업자는 상품의 대장균, 식중독균 등 미생물 검사 부터 화학검사, 물리적 검사등 복잡한 절차를 거쳐서 유통 기한과 소비 기한을 설정하게 됩니다. 기억하셔야 할 부분은 소비기한이 유통기한 보다 길다는 점입니다. 

 

상품의 소비기한을 생각해보면 "정상 ➡️ 썩음" 까지 기간을 100%라고 했을 때 유통기한은 60~70% 정도로 계산됩니다. 반면 소비기한은 80~90% 정도가 설정됩니다. 소비기한이 훨씬 긴 이유는 기존 유통기한을 사용하는 상품도 유통기한이 지난 시점에 소비가 가능했던 겁니다.

 

- 유통기한 : 60~70%

- 소비기한 : 80~90%

 

 

소비기한 유통기한 지나면?

만약에 유통기한 소비기한이 지난 상품은 어떻게 해야 될까요? 유통기한은 상품이 맛가기 전 보다는 짧게 설정해놓은 날짜기 때문에 기간이 조금 지났다고 해서 아예 못 먹는 건 아닙니다. 다만 상품 표지에서 권고하는 보관 방법에 따라 보관했을 경우입니다. 우유를 냉장고에 안넣고 밖에 보관하면 소비기한 보다 더 빨리 맛갑니다.

 

하지만 소비기한은 제품이 맛가기 까지 90%에 이르는 시점을 설정해 놓은 것입니다. 말 그대로 소비자가 상품을 이 때까지만 소비하세요라고 적어놓은 날짜이기 때문에 소비기한이 지난 상품은 섭취하시면 안됩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시점이 소비기한이 끝나는 시점이기 때문입니다. 

 

 

소비가한 계도기간

정부는 2023년 1월 1일 부터 소비기한 도입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소비자의 혼란을 방지한다고 발표한지 벌써 6개월이 지났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트에 가보면 유통기한이 사용되는 상품과 소비기한 상품이 혼재해 있습니다. 

 

정부는 2023년 1월 1일 부터 12월 31일 까지 유통기한에서 소비기한을 변경하는 계도기간을 두고 있는데요, 기존 포장지를 생산해놓은 경우가 있어 계도 기간을 1년으로 잡고 있습니다. 

 

식약처는 현재 180개 상품에 대해 소비기한 사용을 권고하고 2025년 까지 2000개 품목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만약 소비기한을 지키지 않으면 1,2,3차 위반에 따른 행정처분을 때리게 됩니다. 적어도 2024년 부터는 대부분 상품에 유통기한이 사라지고 소비기한이 적용되겠네요. 

 

 

 

소비기한 유통기한 영어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상품은 유통기한이나 소비기한으로 소비해야 할 시점을 알 수 있지만 수입 상품의 경우 영어로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비기한은 OECD 국가들 대부분 도입하고 있는 제도이기 때문에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을 구분해서 수입품을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소비기한 : Use by Date

- 유통기한 : Expiration Date, Sell by Date

 

 

 

🚀 구독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부자가 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법 - 부의 추월차선 위대한 탈출 후기

부의 추월차선 위대한 탈출 후기 엠제이 드마코의 부의 추월차선 시리즈 중 한 권입니다. 인터넷을 활용해서 부의 추월차선이라는 말을 만든 장본인이기도 합니다. 부의 추월차선에서 실질적인

incomeplus.tistory.com

 

 

근로장려금 신청 지급일 조건 신청기간 방법 반기 정기 차이점

근로장려금 이란? 정부에서도 노동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 실행하고 있는 정책이 바로 근로장려금 제도인데요, 현재 일은 하고 있지만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해있는 근로자, 사업자를 위해

incomeplus.tistory.com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기초 비용 호스팅 도메인?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기초 비용 호스팅 도메인? 블로그를 운영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아무래도 수익입니다. 내가 글을 작성하고 얼마의 수익을 올릴 수 있을까가 중용한데요, 워드프레

incomeplus.tistory.com

 

반응형

댓글